드립용입니다. 주의하세요.
구글에서 개발중인 Golang.
점점 인기를 얻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까진 Python의 강세를 이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써보는 코딩입문자에게 Python보다 Go를 추천하는 (6-3)가지 이유!
1. Go의 문법은 대중적이다.
Go의 문법은 파이썬에 비해 좀 더 대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사용하기 편리한가 아닌가를 떠나서, 좀 더 구체적인 표현으로 다른 유명한 언어들과 비슷한 모습을 가진다는 것은, 입문자에게 큰 메리트이다.
이후에도 새로운 언어를 배울 의향이 있다면 Go를 배워두는 것이 C나 Java 등을 배울 때 좀 더 도움이 될것이다.
2. Go는 정적타입 언어이다.
기본적으로 Go는 정적타입 언어이다. 컴파일러 단위에서 체크를 진행하므로, 사실 대다수의 컴파일 언어들이 가지는 특징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인터프리터 언어인 Python에 비해 배우기 까다로울 수 있으나, 그럼에도 입문용으로는 더 좋은 선택지로 본다.
모래주머니를 차고 반년을 보내다 그것을 풀고 1개월간 생활하는것과, 아무 거리낌없이 반년을 보내다 모래주머니를 차고 1개월을 생활하라는 것,
무엇이 더 적응하기 힘들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거라고 생각한다.
3. 사용자층이 굳건한 언어이다.
파이썬은 사용자층이 넓은 언어이고, Go는 사용자층이 좁지만 단단한 언어이다.
사용자층이 좁은 이유도 구글에서 자체 개발한 언어이고, 구글에서만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사용자층이 좁으면 안좋은게 아닌가? 할 수 있다. 그러나 좁기에 가질 수 있는 장점도 꽤 많은 편이다.
많은 프로젝트들이 비슷한 철학관(?)을 가지고 제작되고, 이는 코딩 스타일도 비슷하게 만들 수 밖에 없다.
프로젝트마다 코드 스타일이 달라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이 줄어든다. 파이썬은 그런 방면에서 참 극악한 언어다.
4. 컴파일 언어이다.
사실 지금부터가 본론(???)인데, 컴파일 언어라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모름지기 코딩이라면 컴파일 하는 맛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컴파일 에러가 나서 어디가 문제인지 하루종일 찾다, 세미콜론을 입력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의 그 허탈한 기분이야말로 코딩의 묘미다.
그 허탈한 기분을 즐기는 것이야 말로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제일 중요한 덕목이기도 하다.
괜찮다, 걱정하지 마라.
코더로써 당연히 가져야 할 덕목이므로 마조히스트가 된 것 같다는 기분은 가지지 않아도 좋다.
코더가 되었다는 것, 그것은 당당히 마조히즘에 입문했다는 것과 같은 말이기 때문이다.
5. 문법이 상당히 귀엽다.
파이썬처럼 웅장하고 위대한 문법을 가진 언어가 아니다. Go는 실용적이면서도 귀여운 문법을 가지고 있다.
이건 사람마다 느끼는 점이 다르겠지만, 최소한 필자는 그렇게 느꼈다.
들여쓰기를 적극 활용하는 파이썬은 오와 열을 맞추려고 발악을 한다. 필자는 아직 신병이지만, 그럼에도 오와 열을 보면 눈물이 흐른다.
이에 비해 괄호를 활용해 아기자기함을 뿜어내는 Go를 봐라. 얼마나 귀여운가. 정말 사랑스럽다.
아 물론, 결국은 Go로도 오와 열을 맞추게 된다. 습관이라는 건 무서운거구나 라는 걸 깨닫고 있는 우리는 자랑스러운 코더다.
6. 구글은 신의 직장이다.
이게 제일 중요한 문단인데, 구글은 신의 직장이기 때문에 구글에서 만든 Go 를 쓰자.
콘덴싱을 만들지는 않지만, 콘덴싱을 쓰는 지구 지키는 히어로 아빠가 있듯.
구글에 다니지는 않지만, 구글 제품을 쓰는 신의 직장에 다니는 듯한 코더가 있다.
고래앵 사용해효오오오~
댓글 달기 WYSIWYG 사용